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OSEMARIE TROCKEL

ARTIST STUDY

by 메로나빈 2022. 11. 23. 18:52

본문

728x90
반응형
SMALL

1952, Schwerte, Germany / Lives in Berlin, Germany


Rosemarie Trockel's polyvalent art practice has been internationally lauded since the 1980s, when she emerged as a part of a new, radically inventive artistic scene in Cologne, Germany.

 

로즈마리 트로켈의 다원 예술 활동은 1980년대부터 독일 쾰른에서 급진적으로 독창적인 예술 장면의 일부로 부상한 이래로 국제적 찬사를 받아왔다.

 

*polyvalent art : 다원 예술 / *laud : 칭찬하다 / *inventive : 독창적인


Characterised by a convergence of shrewd feminist provocations and a penchant for aesthetic irony, her films and videos, "knitting pictures," ceramics, drawings, collages, and projects for children are celebrated for their biting critique,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a male-dominated environment.

 

빈틈없는 페미니스트 도발과 미학적 아이러니가 융합된 것이 특징인 그녀의 영상과 비디오, 도자기, 드로잉, 콜라주, 어린이를 위한 프로젝트 등의 작업은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를 신랄하게 비평을 하여 특히 유명하다.

 

*convergence : 집중, 수렴, 융합 / *shrewd : 상황판단이 빠른, 빈틈없는, 날카로운 / *provocation: 도발, 자극 / *penchant: 애호 / *aesthetic : 미학적


Like other women artists of her generation such as Barbara Kruger, Cindy Sherman, and Jenny Holzer, Trockel relays a subversive engagement with feminist discourse in her earliest works, calling into question the essentialisms of 1970s feminism through the use of industrial fabrication and commercial design, while offering up a destabilising new way of perceiving politics and culture.

 

바바라 크루거, 신디 셔먼, 제니 홀저와 같은 세대의 다른 여성 예술가들과 마찬가지로 트로켈은 초기 작품에서 페미니스트 담론에 대한 파괴적인 관여를 보여주며, 산업 제작과 상업 디자인의 사용을 통한 1970년대 페미니즘의 본질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녀는 페미니즘 담론과의 파괴적인 참여를 전달하면서 정치와 문화를 인식하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relay : 전달하다 / *subversive : 체제 전복적인 / *engagement : 관여 / *discourse : 담론 / *essentialism : 본질주의 / *fabrication : 위조 / *destabilize : 불안정하게 만들다 / *perceive : 인식하다 / *politics : 정치


In the early 1980s, Trockel began making her wool "knitted pictures," patterned skeins of yarns generated by a computerised knitting machine and then stretched over canvas like paintings.

 

1980년대 초반 트로켈은 전산화된 뜨개질 기계로 만든 무늬를 패턴화한 뒤, 캔버스 위에 늘어진 그림과 같은 양털 "뜨개(니트) 그림"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skein : (실, 털실의) 타래 / *yarn : 실 / *generate : 발생시키다, 만들어 내다


These large-scale pieces express the artist's sharp engagement with questions of "women's work" and the devalued status of craft in the context of an increasingly mechanised and media-saturated society.

 

이 대규모 작품들은 점점 기계화되고 미디어에 포화된 사회의 맥락에서 "여성의 작품"에 대한 질문과 공예의 평가 절하된 지위에 대한 작가의 날카로운 참여를 표현하고 있다.

 

*saturated : 포화된


Including repeating geometric motifs, logos, political symbols, and references to German history, these "knitting pictures" superficially ape the forms of abstract paintings, while underscoring the clichéd connotations of gendered labour behind them.

 

반복되는 기하학적 모티브, 로고, 정치적 상징, 독일 역사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여, 이러한 "뜨개질 그림"은 표면적으로 추상화의 형태를 모방하는 동시에 그 뒤에 있는 성 노동의 진부한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geometric : 기하학적인 / *reference : 언급 / *superficially : 표면적인 / *ape : 모방하다 / *underscoring : 강조하다 / *clichéd : 진부한 / *connotation : 함축


For The Milk of Dreams, Trockel presents a selection of existing and previously unseen wool works. Subtle variations in the stitching of the monochrome wool pieces-each knitted by Trockel's long-time collaborator Helga Szentpétery-signal their hand-made quality, recalling, in some cases, the Modernist fascination with mono-chromatic painting; others evoke conventional fabric patterns while putting a playful twist on our expectations of both the gestural quality of abstract painting and textile design's opticality.

 

The Milk of Dreams를 위해 트로켈은 기존과 이전에 보지 못했던 양모 작품들을 선보인다. 트로켈의 오랜 협력자인 Helga Sentpétery가 뜨개질한 단색 양털 조각의 미묘한 변형은 그들의 손으로 만든 품질을 나타내고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단색화에 대한 모더니즘의 매력을 상기시킨다; 다른 경우에는 전통적인 직물 패턴을 환기시키면서 추상화와 직물의 제스처의 품질에 대한 우리의 기대에 장난스러운 반전을 주고 있다.

 

*unseen : 눈에 보이지 않는 / *Subtle : 미묘한, 감지하기 힘든 / *fascination : 매력 / *evoke : 상기시키다, 환기시키다 / *conventional : 전통적인 / *gestural : 제스처


The ambiguity they present between manual and mechanised labour is redoubled by Trockel's decision to show some of these works alongside their preparatory studies.

 

수작업과 기계화된 노동 사이에 나타나는 애매 모호함은 트로겔의 예비 연구와 함께 이러한 작업 중 일부를 보여주기로 한 작가의 결정으로 인해 배가된다.

 

*ambiguity : 애매 모호함 / *redouble : 배가하다, 강화하다 / *alongside : ~와 동시에, ~와 함께 / *preparatory : 준비를 위한


Evoking the forms of Minimalist, Pop, and OpArt, these works present a wry assessment of the subjectivity of visual representation and of art's commodification.

 

미니멀리스트, 팝아트 및 옵아트의 형태를 상기시키는 이 작품들은 시각적 표현의 주관성과 예술의 상품화에 대한 풍자적인 비판을 제시하고 있다.

 

*Evoke : 상기시키다 / *wry : 비꼬는, 풍자적인 / *assessment : 평가 / *subjectivity : 주관성 / *commodification : 상품화


© La Biennale di Venezia 2022
© La Biennale di Venezia 2022
반응형
LIST

'ARTIST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NA K.E.  (0) 2023.02.17
JANA EULER  (2) 2023.02.17
NIK NOWAK  (0) 2023.02.17
PHILIPP GUFLER  (0) 2023.02.17
KATHARINA FRITSCH  (2) 2022.11.23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