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saints, roosters, architectural models, and poodles to flies, shells, human figures, skulls, and objects of everyday life, Katharina Fritsch's realistic sculptures dissolve the edges between the ordinary and the uncanny, stirring our deep-rooted dreams and nightmares while myths.
성인, 수탉, 건축 모형, 푸들부터 파리, 조개껍질, 인간 형상, 두개골, 일상생활의 물체까지, 카타리나 프리치의 사실적인 조각들은 평범한 것과 괴상한 것 사이의 가장자리를 녹여내며, 신화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의 뿌리 깊은 꿈과 악몽을 뒤흔든다.
*saint : 성인 / *rooster : 수탉 / *shell : 껍질 / *skull : 두개골 / *uncanny : 이상한 /
*stirring : 1. 명사 - (감정, 생각 등이) 시작됨, 2. 형용사 - 마음을 뒤흔드는, 신나는 / *nightmares : 악몽
Together, her works, which appear as boldly hued large-scale public projects, strangely scaled sculptures, intimate sound pieces, and multiples, project a confidence that can be interpreted as variably protective and threatening; as in the allegories traced through fairy tales, churches, or temples, both of these things can be true at once.
대담하게 색칠된 대규모 공공 프로젝트, 이상하게 규모가 큰 조각, 친밀한 사운드 조각 및 다중으로 나타나는 그녀의 작품은 동화, 교회 또는 사원을 통해 추적된 우화에서처럼 이 두 가지 모두 동시에 사실일 수 있는 다양한 보호와 위협으로 해석될 수 있는 자신감을 투영합니다.
*boldly : 대담하게 / *interpret : 설명하다, 해석하다 / *threatening : 위협적인 / *allegories : 우화
Fritsch first emerged to international acclaim as part of a new tendency in European sculpture in the 1980s, later representing Germany at the Biennale Arte 1995.
프리치는 1980년대에 유럽 조각의 새로운 경향의 일부로 처음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고, 이후 1995년 비엔날레 아르테에서 독일을 대표했습니다.
*emerged : 드러나다, 알려지다 / *acclaim : 찬사
Appearing at the Biennale again in 1999, she displayed her frightful sculpture Rattenkönig (1993), a larger-than-life installation physically manifesting the titular phenomenon, the Rat King-represented here by a circle of sixteen nearly 3-metre-tall matte black rats with tangled tails in the middle knotted in a ball.
1999년 비엔날레에 다시 등장한 그녀는 그녀의 무시무시한 조각품인 라텐쾨니히(1993)를 전시했는데, 이것은 명목상의 현상을 물리적으로 보여주는 큰 설치물인 랫 킹(Rat King)은 가운데 꼬리가 엉킨 16마리의 원형으로 여기에 대표되었습니다.
*frightful : 무서운, 끔찍한 / *manifest : 나타나다, 분명해지다 *titular : 명목상의 *phenomenon : 현상
In this work, as in many of Fritsch's other sculptures, a profound eeriness arises not only from her twisting of the everyday, but also from her technique.
이 작품에서, 프리치의 많은 다른 조각품들과 마찬가지로, 심오한 공포는 그녀의 일상의 비틀림뿐만 아니라 그녀의 기술에서도 일어납니다.
Frequently moulded by hand, cast in polyester, and finished with a matte paint, her sculptures maintain a formal naturalism made strange by the paint's absorption of light, which gives the surface a mystifying quality.
종종 손으로 몰딩하고 폴리에스테르로 주조하고 무광 페인트로 마감한 그녀의 조각들은 페인트의 빛의 흡수로 인해 이상하게 만들어진 형식적인 자연주의를 유지하는데, 이것은 표면을 신비롭게 하는 품질을 줍니다.
The imposing sculpture Elefant / Elephant (1987) was among Fritsch's first large-scale works. Cast in dark chromium oxide green polyester from the mould of a stuffed elephant named "Bibi" from the collection of the Zoologisches Forschungsmuseum Alexander Koenig in Bonn, it reproduces the textures and folds of the mammal's body with startling exactitude.
위풍당당한 조각 Elefant / Elephant (1987)는 Fritsch의 첫 번째 대규모 작품 중 하나였습니다. 본에 있는 알렉산더 코닉 동물 박물관의 소장품인 "비비"라는 박제 코끼리의 주형에서 나온 짙은 크롬 옥사이드 녹색 폴리에스테르로 주조된 그것은 놀라운 정확성으로 포유동물의 몸의 질감과 주름을 재현합니다.
Hovering over viewers on a museum pedestal, its size, clarity of anatomical detail, and colour profile take on a supernatural effect, which is further dramatised by the audience's associations with elephants across the public imagination.
박물관 대좌, 규모, 해부학적 세부 사항의 명확성,과 색 프로필에서 시청자들의 넘게 맴돌며는 공개 상상력을 가로질러 코끼리와 관객들의 관계성에 의하여 dramatised은 초자연적인 영향을.
Fixing itself within viewer's mind, Elefant/Elephant takes on the vestiges of fables of grandeur, intellect, captivity, and matriarchal societies - the core of elephant family structures.
시청자의 마음속에 고정되면서, 엘레판트/코끼리들은 웅장함, 지성, 감금, 그리고 코끼리 가족 구조의 핵심인 모계 사회의 우화들을 떠맡습니다.
Even in Venice, the iconography of elephants looms large: in the 1890s, right before the beginning of La Biennale's history, an elephant named "Toni" lived on the parkland grounds, and was known as "the prisoner in the Giardini."
심지어 베네치아에서도 코끼리의 도상학이 크게 보입니다: 라 비엔날레의 역사가 시작되기 직전인 1890년대에 "토니"라는 이름의 코끼리가 공원 땅에 살았고 "지아르디니의 죄수"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ANNA K.E. (0) | 2023.02.17 |
---|---|
JANA EULER (2) | 2023.02.17 |
NIK NOWAK (0) | 2023.02.17 |
PHILIPP GUFLER (0) | 2023.02.17 |
ROSEMARIE TROCKEL (0) | 2022.11.23 |
댓글 영역